1. 비상식량을 얼마나 많이 언제부터 짜두어야 할까요?
비상식량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답니다. 직장맘은 돌발상황이 많아서 회식, 출장, 세미나참석 등등 냉동실 가득히 모유가 차있어도 줄어들기 시작하면 며칠이면 바닥을 들어낸답니다. 미리미리 조금씩이라도 모아두세요.
2. 한번에 유축한 양이 적은데 이걸 같이 합쳐서 보관해도 되나요?
같은날 유축한 모유는 서로 같은 온도에서 합칠 수 있습니다.
우선 유축을 한 젖병을 냉장고에 넣는다. 두 번째 유축할 때는 새로운 젖병에 유축하고 다시 냉장고에. 그럼 냉장고에 두개의 젖병이 있죠? 세 번째 유축할 땐 두개의 젖병의 모유를 서로 합하고 빈 젖병에 유축. 이런 식으로 반복해서 합칠 수 있고 적당량을 모야 저장팩에 날짜를 적고 냉동하시면 된답니다.
3. 직장에서 유축한 젖은 어떻게 이동하나요?
젖병에 담아서 밀봉디스크로 꼭 닫고 운반하면 됩니다. 저장팩으로 하실 경우 노란 고무줄로 꽁꽁 묶어서 하시구요.
출퇴근 거리가 1시간 이내라면 유축한 젖을 운반하는데 굳이 아이스박스나 보냉가방이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여름에는 젖병을 냉동실에 1시간정도 두었다 살짝 언 상태로 운반하시면 됩니다.
4. 그 다음날 먹일 모유는 냉동하지 않아도 되나요?
냉동젖은 비릿한 맛이 나고 아무래도 신선도도 떨어지니 되도록이면 그 다음날 먹을 모유는 냉장해서 해동하는게 좋구요,
금요일날 유축해서 월요일 먹일 건 냉동해두시는게 좋답니다.
5. 모유의 보관기관과 해동은 어떻게 하나요?
냉동젖은 2개월, 냉장젖은 3일 실온에서는 겨을 8시간 봄가을 2-3시간 여름에는 실온보관 안되구요,
해동할때는 냉동젖은 하룻밤 전에 냉장실로 이동(냉장실 성능이 너무 좋아 꼼짝도 않고 꽁꽁 얼어있다면 실온에서 녹일 수도 있어요. 냉장실에 넣어두고 좀 녹으면 손으로 저장팩을 꾹꾹 눌러 언 모유를 좀 부셔주면 더 잘 녹구요) 녹으면 보틀워머나 뜨거운 물에 중탕...
온도가 55도를 넘으면 면역성분과 영양소가 파괴된다고 하니 보틀워머는 1단계에서 20분정도 물에는 뜨겁다 싶은 물에 담궈두심 됩니다.
절대 전자렌지에 해동하지 마시구요.
냉동젖도 바로 중탕하지 마세요. 상하거나 아기에게 이상이 있어서가 아니라 영양소와 면역성분 보호를 위해서랍니다.
중탕을 할때는 저장팩보다 젖병이 편하답니다. 저장팩은 기울거나 쏟아질 염려도 있고 젖병이 환경호로몬에도 더 검증을 받은 제품이 많다고 하네요.
6. 해동시킨 모유를 다시 냉동해도 되나요?
한번 해동한 젖은 다시 냉동하면 보관기간이 짧아지고 영양소파괴 등등 권하지 않습니다. 한번 해동한 젖은 바로 먹이시는 게 좋구요, 그러니 필요한 양만큼만 덜어서 해동하는게 중요합니다.
7. 냉동젖이 서로 날짜가 다른 것을 섞어서 먹여도 되나요?
아주 많은 기간이 차이가 나는게 아니라면 괜찮습니다. 이건 많은 경험맘들의 임상실험결과 아무런 문제가 없었답니다.
8. 한번 중탕한 젖은 실온에서 얼마나 두고 먹일 수 있나요?
중탕한 젖은 실온에서 1-2시간 두고 먹을 수 있습니다.
중탕해도 침이 섞이지 않았다면 다시 냉장고에 넣었다 데워서 먹이는게 가능합니다.(되도록 빠른 시간이내에)
하지만 아기의 침과 섞였다면 소화효소 땜에 빨리 변질됩니다. 1-2시간 이내 먹이시고 그걸 다시 냉장고에 넣었다가 데워먹이진 마세요.
직장맘 소모임 운영자 에스텔님 글입니다.
'육아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Re:가슴이 너무 아파요!! (0) | 2009.06.26 |
---|---|
[스크랩] Re:직접수유가 너무 힘들어서 유축기로 젖을 짜서 주려고 하는데 괜찮을까요? (0) | 2009.06.26 |
[스크랩] [직장맘님들을 위한 정보2] 유축에 관한 모든 것 (0) | 2009.06.26 |
[스크랩] 모유관련 사이트&모유관련 소아과 (0) | 2009.06.26 |
[스크랩] 제가 도움받았던 모유수유에 관한 몇가지 (0) | 2009.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