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스크랩] 복리효과를 교란하는 원금보장형상품 제대로 이해하기

왕게으름 2009. 6. 25. 07:33

1.  원금보장 변액연금에서 원금보장의 의미 ?

     연금지급개시 이전에 원금 100% 내지는 130%까지 보장을 해주는 연금보험이 많습니다.

     (참으로 이 부분에 대한 함정을 여러분께서 이해하시도록  글로 표현하기 어렵네요 ^^*)

 

   

    예컨데 40세의 경우 월 100만원씩  20년간 납입하면 원금 2,400만원이고 이를 5년간 거치후 65세부터 연금수령을 한다면...

             투자수익률 8%일 경우 ----6억1787만원

             투자수익률 4%일 경우 ----3억3,280만원

             투자수익률 0% 이하일 경우 ----2억4,000만원.....원금보장

   즉 아무때나 원금을 보장해주는 것이 아니라 연금수령할 경우에 한합니다.

 

 

 

2. 원금보장의 함정.

 

 일반적인 금융상품의 경우   매우 낮은 금리를 적용해도  20년 납입후 5년 거치로 예탁하면  표1)과 같습니다.

   표1)

수익률

원금

적립금

누적수익률

3%일경우

2억4,000만원

3억8,000만원

58%

2%일경우

2억4,000만원

3억4,000만원

41%

     

 

    여기서 20년간 납입후 5년 거치 시점에서 이자가 전혀 발생하지 아니하고

원금이 지급되는 경우  원금보장 2억 4,000만원으로 인한 기회비용을 계산하면 표2)와 같습니다.

   

수익률

원금수령

기회비용

가치하락

3%일경우

2억4,000만원

-1억4,000만원

58% 

2%일경우

2억4,000만원

-1억원

41%

    기회비용은 내가 A라는 상품을 선택하였기에 B라는 상품에서 얻을수 있는 이득을 포기한 부분을 의미.

     즉 원금보장에 대한 의미부여는 1억4,000만원의 기회비용을 치루는 것입니다.

     재테크에서 기회비용의 의미를 잘 파악하세요.

     기회비용 관련 게시글은 : 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엄밀한 의미의 기회비용은 원금보장형이 아닌 상품과 원금100%보장형의 상품의 차액을 비교하는 것이 맞습니다)

       크릭하세요 ==> 기회비용(機會費用) -1.알면 재테크가 보입니다.

 

    

 

    보험회사에서 말하는 원금보장의 의미는 5년-10년의 중도에 해약시 환급금을 보장해주는 것이 아니라 매우 기나긴 장기간 유지시에 보장해줍니다.

 

  결국 원금보장이라는 의미는 장기 저축으로 인한 복리효과를 포기하는 것이므로 막대한 기회비용을 치루는 것입니다.

  

 

4. 당부사항

 

 만약 주택마련, 종잣돈 등이 충분하지 않으면  연금보험을 가입하고 중도 해약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여러분께서 연금보험상품을 선택할 것이 아니라 '내가 연금보험에 가입할 정도로 성숙하였는가?'를 검토하세요.

내가 연금보험 가입할 정도로의 성숙의 의미는 연금보험 가입해두고 해약하지 않을 정도로 경제적으로 안정권에 접어들었다는 의미입니다.

 

원금보장 기간이 긴것에 대한 원금 보장은 무의미합니다.

 

여러분께서 생각하는 원금보장은 7년 ~10년 즉 납입기간이 끝난 시점에서 원금보장으로 오해하고 있지않는지요?

 

현실적으로는 25년 30년후에 원금을 보장한다는데 대해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출처 : 철학있는 보험인이 그립다
글쓴이 : 보험구단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