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관련

[스크랩] 마인드맵 지름길

왕게으름 2008. 9. 30. 12:56
1. 중심 이미지
이미지로 주제를 표현하면 기억 효과는 문장보다 100배 이상 높아진다.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Mind Map이 아니라면 굳이 그림을 잘 그려야 할 필요가 없다. 자신만이 알아볼 수 있는 표현만으로도 충분하다. 다만 상상력을 동원하여 그 그림을 정교하게 그려보는 것은 필요하다. 가슴으로 느끼는 아이들의 마음으로 돌아가서 사물을 보아야 한다.

2. 색상사용
적어도 세 가지 이상의 색상을 사용해야 한다. 색상 사용은 구성하고 있는 각 주제들을 구분시키고 기억 효과를 높인다는 장점이 있다. Mind Map에 익숙해지면 단색의 필기구로 작성해도 좋으나. 만든 후 컬러 펜으로 구분하는 작업은 꼭 따라 야 한다. 일단 Mind Map을 만들어 두면, 기존 노트에 비해 빠른 시간 내에 능률적으로 복습이 이뤄질 수 있다.

3. 핵심 단어
Mind Map은 핵심 단어들로 연결되는 형태로 작성해야 한다. 그러나 핵심 단어가 문장 속에 숨겨져 있어 찾기가 수월치 않다고 생각한다. 핵심 단어의 파악이 없이는 이해가 불가능하다. 직선식 노트의 경우의 약 10%정도가 핵심 단어이다. 핵 심 단어의 파악이 선행되지 않는다면 복습 시에도 다시 핵심 단어를 찾기 위한 불필요한 시간과 노력의 낭비가 되풀이될 뿐이다. 문장 사용이 불가피할 경우에는 여백에 Box처리를 하는 방안도 생각할 수 있다. 특히 수식이나 공식을 정리해 야 할 경우 기존 방식과 병행해서 사용하는 유연성을 가져야 한다.

4. 마스터 Mind Map
단 일 회에 완벽한 Mind Map을 만들기란 쉽지 않다. 가장 전형적인 방법은 3단계의 순서에 따라 작성하는 것이다. 1단계(미니 Mind Map) : 미니 Mind Map -> Mind Map의 주가지와 부가지와 같은 세부 항목들을 빠른 시간 내에 작성한다. 2단계(보충 및 삭제) : 1단계에서 만든 미니 Mind Map의 내용을 재 점검하여, 불필요한 내용들을 삭제하고 새로운 사항들을 추가하면서 중심 이미지를 확정한다. 3단계 : (최종정리 마스터 Mind Map) : 색상을 사용하여 주가지 내용들을 분류하고 핵심 단어의 내용을 재확인합니다.

5. Mind Map과 기억
마스터 Mind Map을 만드는 과정에서 전반적인 내용의 이해는 확실히 이뤄질 수 있다.
그러나 특히 내용이 방대할 경우, 마스터 Mind Map을 만드는 것만으로 기억하기란 쉽지 않다.
Mind Map을 통해 기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자.

1단계 : 마스터 Mind Map 작성
2단계 : 마스터 Mind Map의 핵심 단어를 기억법을 통해서 고리로 연결
3단계 : 마스터 Mind Map을 참조하지 않는 상태에서 마스터 Mind Map 재 작성
4단계 : 먼저 작성한 마스터 Mind Map과 비교 검토
5단계 : 3차 Mind Map 작성(1,2차 Mind Map을 비교하면서)
6단계 : Mind Map을 보지 않는 상태에서 마음 속으로 전체 내용을 그려봄 이 단계를 거치면 자연스럽게 전체 내용이 마음 속에 지도를 그리는 것처럼 기억됩니다.



출처 : 마인드맵 클럽_마인드맵 실천모임
글쓴이 : gooday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