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스크랩] 괴물출현- 적립식펀드 리스크 관리

왕게으름 2007. 4. 25. 12:47

1. 괴물출현

  지난 여름 괴물이라는 영화를 보셨죠~~

평화롭고 익숙한 한강에 문득 괴물이라는 생명체가 나타나 한 가정을 공포로 몰아넣고 불행을 안겨주는 영화 ‘괴물’처럼 작은 금액으로 시작한 적립식펀드가 어느덧 눈덩이처럼 불어나면 거치형펀드처럼 고수익 고위험 자산으로 돌변하게 됩니다.


카페에서 적펀을 외치면서 200만계좌 돌파, 300만계좌, 500만계좌 뉴스를 접하면서 아직도 빠르니 저축수단으로 펀드를 여러분에게 강조하였습니다.


지난 3월 적립식펀드가 800만 계좌가 넘어섰고 한 집건너 한 집씩 적펀을 가입하고 있다고 하지만, 아직도 시장 진입 초기라고 애써 강조하고 싶습니다.


한집 건너 한집씩 펀드 가입했다고 언론 보도하지만 사실은 다섯 집 건너 한 집만 가입할 정도입니다.

[ 저의 경우 펀드 10가지 정도가입-계좌수로는 4계좌:1인의 계좌를 계산할 때 펀드 종류가 아닌 펀드 계좌를 1계좌로 계산하며 우리 식구는 총 8계좌임-저(4), 아내(2), 아들(1), 딸(1)]


2. How to management ‘괴물‘ ?

   정체불명의 '괴물'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적립식펀드 시간에 대한 분산투자로 매입단가를 낮추는 이른바 Cost Averaging 때문에 안정자산으로 분류하였습니다.

  그러나 평화로운 한강도 오염으로인해 괴생물이 탄생하였듯이 적립식펀드도 꾸준하게 납입하다보면 거치형 펀드처럼 고수익 저위험 자산에서 고수익 고위험 자산으로 돌변하게 됩니다.


괴물을 관리하는 원칙 (적립식펀드 리스크 관리)

  ☞ 오늘의 포인트 ☜

 가) 주가 상승을 눈으로 확인한 이후 월 납입액을 늘리는 것은 절대 금지.

 나) 매월 적립금액이 연봉수준에 도달하면 환매는 하지 말고

    납입만 중단하자.

 

 (* 가입초기인 경우 - 1년이상은 꾸준히 주가 등락은 무시하고 꾸준하게 납입해야 합니다..가끔 초보자는 주가 하락할때 납입을 중단하는데 이는 절대적으로 금물입니다....)


가) 해보고 괜찮으면 적립금액을 늘리겠다. -절대 금물-

   이것은 매입단가를 높게하는 우를 범합니다.(逆Cost Averaging효과발생에 요주의)

   (소득수준이 한 단계 상승하여 저축액을 늘리는 경우를 제외하고 수익 발생확인하고서 적립금액을 늘리지 마세요)

 적립식펀드 자발적 참여하거나 혹은 누군가 권유로 참여할때 '없는셈 치고' 월 5만원, 10만원씩

가입해두고서 1~2년 지나 수익률을 확인하고서 금액을 늘리는데 처음 시작할때부터 가입금액을

늘리기 바랍니다.


 

① 처음에 어떤상품인지 잘 몰라서 호기심에 작은 금액을 해보고 이익난걸 확인하고서 금액을 늘리는경우.


==> 예를 들어 매월 10만원씩 매월 납입하다가 손실이 발생하면 절대 추가 납입을 하지 않고, 이익이 확인되면, 금액을 늘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 매월 10만원씩 납입하다가 눈에 보일만큼 수익이 붙으면(20%~30%), 펀드로 세상을 다 얻는듯~

~차라리 100만원씩 넣었더라면, 이익금이 많았을텐데...중얼거리게 되죠.

그리고 이때쯤 펀드가 그런가 보다 하고~ 이해하게 되고 납입금을 추가한 경우가 많습니다.


ex1) 10만원의 10%이익===>이익금 1만원.

      이경우 KOSPI(종합주가지수) 1,400포인트 -->1,540포인트로 상승했다는 의미 .


ex2) 이익난것을 확인하고 100만원을 추가한 경우

     이때는 이미 KOSPI가 1,540포인트이므로 그동안 10%(140포인트)상승했기에 향후 70포인트(5%)정도는 하락할 수 있습니다.

 

즉 5%만 하락해도.

     100만원==>95 만원 즉, 손실 5만원입니다. 1,400포인트에서 가입해서 작은 금액으로10% 수익률 올려 1만원의 수익에 비해  큰 금액에서 5%손실은 막대합니다.


차라리 적립식펀드 시작 할 때부터 큰 금액을 납입하시기 바랍니다.

   (향후 추가 납입할 것이라면 미리서 많이 납입하고 난후 상승후 줄이세요)

그리고 이익금이 눈에 보이면 납입금액을 줄이기 바랍니다.


  ex1) 100만원의 10%이익===>이익금 10만원

     이경우 KOSPI(종합주가지수) 1,400포인트에서 1,540포인트로 상승했다는 의미


  ex2) 이와 대조적으로 매월 100만원 납입하다가 큰 이익난것을 확인하고 10만원으로 줄이는 경우

    이때는 이미 KOSPI가 1,540포인트이므로 그동안 10% 상승했기에 향후 5%를 하락해도  나중에 납입금액을 줄인 10만원원은==>95,000원으로 됩니다.

  즉, 손실 5,000원이지만 이미 1,400포인트에 편입한 100만원에서 5만원 수익이 발생하여 전체적으로는 큰 수익이 발생되었습니다.


  과 같이 행동하면 안됩니다...

   여러분께서 해당 상품의 수익을 눈으로 확인하고 덤벼든다는 것은 안됩니다.

  (이 글은 2006. 9.15일자 게시글을 재구성함-->원문 보기: 크릭)


나) 매월 적립금액이 연봉수준에 도달하면 환매는 하지 말고 납입은 중단하자.


  - 참고 : 연봉수준 미도달시에는 꾸준하게 납입 -

  -적립식펀드 목표금액을 연봉수준이라고 선을 그어두는 이유 -

일반적으로 주가가가 조정기에 접어들면 10%정도 등락을 거듭합니다. 심하면 20%까지 발생합니다.

연봉 5,000만원이라면 월 급여는 400만원 정도(연봉의 약 8%)이고 이정도 금액은 코스피지수 몇 차례 등락폭에 의해 가능한 금액입니다.


금액이 너무 많으면 1개월 급여 정도가 오르락 내리락 하게되니 경제 뉴스에 더욱 민감해지고 설령 좋은 수익을 가져준다해도 일상생활에 방해가 됩니다.


여유자금이라면 환매는 하지말고 더 이상 적립식펀드 납입을 중단하거나 납입금액을 최소화 단위로 줄이고 그 돈은 확실한 금융자산인 정기적금으로 방향을 돌려두면 확실한 수익을 챙길수 있습니다.


* 매월 적립금을 MMF 또는 CMA계좌에 일시적으로 예치해두는 것이 좋을것이다.

   그래서 혹시라도 코스피가 단기에 급 조정(폭락)하게되면 그동안 미루어 놓았던 적립식 펀드를 한꺼번에 납입하는 방법은 더 좋은 수익을 위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출처 : 철학있는 보험인이 그립다
글쓴이 : 보험구단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