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운전자를 위한 지침

[스크랩] 자동차 똑바로 사용하기 제 1탄

왕게으름 2009. 3. 23. 16:33

자동차 연비를 올리기 위해서는 자동차를 많이 알아야 합니다.
자동차 운전자들은 경제운전 에코드라이브를 쉽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동차의 원리를 먼저알아야 합니다.

 

모든분들이 쉽게 이야기 하는 에코드라이빙 즉 경제운전이라는것 지금부터 환상을 깨보겠습니다.

 

자동차의 역사는 100년이 넘었습니다. 기술력의 발전으로 차량의 연비도 많은 항상을 보여온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자동차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차량에 대한 이해부족(이부분은 일정부분 메이커의 책임도 있음)으로 좋은차의 성능을

100% 발휘를 못하고 있습니다. 차량의 성능을 100% 발휘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특성을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새차를 구입하여 차량 길들이기, 운전습관, 차량관리, 등은 운전자의 성향에 따라 아주 좋은 방향으로 길이 들면서 성능을 100%

발휘할 수 있기도 하고 나쁜 방향으로 길이 들면서 성능을 70% 이하로 떨어지기도 합니다.

 

차량의 성능을 100% 발휘한다면 즉 정확한 에코드라이빙을 한다면 연비가 얼마나 나올까요?

시내주행시 공인연비 수준 정도는 나와야 되고 고속도로 주행시 공인연비의 2배 정도를 낼 수 있어야 된다고 봅니다.

왜냐하면 자동차 메이커에서 표시하는 공인연비 측정방법은 CVS75모드라고 하는 표준시험모드를 사용하며,

시험실에서 샤시다이나모미터라는 시험장치 위에서 실제 자동차를 시험모드대로 주행시험을 하여 얻은 결과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때문에 제대로 차량을 사용한다면 시내에서 누구나 공인연비가 나와야 되지만 현실은 너무나 큰 차이가 나고 있습니다.

보통은 고속도로 주행시 공인연비 정도 나오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그렇지 않은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좋은 운전습관은 새차 길이기부터 얼마나 중요한지 알아 보겠습니다.

엔진의 길들이기는 가공면이 자리잡기를 하는 과정이라고 보시면 이해가 빨리 될것입니다.

이과정에 무리하게 기름을 사용하면 많은 열을 유발하여 가공면의 이상마모, 불완전연소, 등이 이어지면서 악순환이 계속됩니다.

그렇다면 상식적으로 알고 있는 정속운전을 하면 운전습관이 좋은것일까요? 도로가 완전 수평도로라면 맞는 말입니다. 

하지만 도로는 수평도로만 있는것이 아니지요. 그럼 정속 즉 엔진회전수에 따라 기름량이 똑같이 들어가지 않는다면 어떻게

주행하는것이 좋은 습관일까요?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급가속, 급출발, 급정지는 차속으로 볼 것이 아니라 엔진을 기준으로 해야 된다는 결과가 나옵니다.

그런데 엔진에대한 정보는 ECU에서 컨트롤을 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볼 수가 없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어서 2탄에 계속 하겠습니다.

출처 : 짠돌이
글쓴이 : 연비연구 원글보기
메모 :